아담 빌헬름 몰트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담 빌헬름 몰트케는 1785년 퓔 섬에서 태어나 1864년 사망한 덴마크의 정치가이다. 그는 1831년 재무 장관을 역임했고, 1848년에는 덴마크의 마지막 절대 군주와 그 직전 군주의 신하였던 몰트케가 민중의 지지를 받는 인사를 입각시켜 내각을 이끌면서 신정부에 안정성을 부여했다. 몰트케는 1848년부터 1851년까지 덴마크 총리를 지냈으며, 1849년 덴마크 왕국 헌법 제정에 기여했다. 그는 1852년 덴마크를 단일 왕국으로 만드는 칙령에 반대하여 총리직에서 사임한 후에도 란스팅 의원과 릭스뢰드 고문관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5년 출생 - 야코프 그림
야코프 그림은 그림 동화 편찬, 독일어 사전 편찬 참여, 그림의 법칙 정립 등 언어학과 문헌학에 큰 업적을 남긴 독일의 학자이자, 법학자, 민속학자, 자유주의 운동가였다. - 1785년 출생 - 존 제임스 오듀본
존 제임스 오듀본은 아이티 출신의 미국의 조류학자, 자연주의자, 화가로, 『미국의 새들』을 출판하여 북미의 새들을 실물 크기로 묘사하고 자연 보호 정신에 영향을 미쳤으나 표절 등의 혐의도 받았다. - 덴마크의 총리 - 메테 프레데릭센
메테 프레데릭센은 1977년 덴마크에서 태어나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2019년 덴마크 총리가 되었으며, 2022년 총선에서도 승리하여 연립 정부를 이끌었다. - 덴마크의 총리 - 포울 슐뤼테르
포울 슐뤼테르는 1982년부터 1993년까지 덴마크 총리를 역임한 보수인민당 정치인으로, 총리 재임 중 "올해의 북유럽 정치인"으로 선정되었고, 타밀족 난민 관련 의혹으로 사임 후 유럽 의회 의원을 지냈으며, 자유 시장 정책 연구소 CEPOS를 공동 설립했다. - 1864년 사망 - 홍수전
홍수전은 과거 시험에 낙방한 후 기독교적 사상을 받아들여 태평천국을 건국하고 천왕으로 즉위하여 토지 개혁과 사회 개혁을 시도했지만, 내부 갈등과 청나라의 공격으로 사망하며 태평천국을 멸망시킨 중국의 농민 반란 지도자이다. - 1864년 사망 - 막시밀리안 2세 (바이에른)
막시밀리안 2세는 바이에른 왕국의 왕으로, 학구적인 성향을 보이며 문화, 교육, 예술 발전에 힘썼으나 보수적인 반발에 직면했고, 프로이센의 범독일주의에 맞서 바이에른의 정체성을 강화하려 노력하다가 1864년 사망했다.
아담 빌헬름 몰트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각하 |
존칭 접미사 | 기사 |
이름 | 아담 빌헬름 몰트케 |
출생일 | 1785년 8월 25일 |
출생지 | 덴마크, 에인시델스보르 |
사망일 | 1864년 2월 15일 |
사망지 | 덴마크, 코펜하겐 |
안장지 | 덴마크, 카리세, 카리세 교회 |
직책 | |
직함 | 덴마크 총리 |
임기 시작 | 1848년 3월 22일 |
임기 종료 | 1852년 1월 27일 |
군주 | 프레데리크 7세 |
전임 | 신설 |
후임 | 크리스티안 알브레크트 블루메 |
직함2 | 덴마크 외무부 장관 |
임기 시작2 | 1848년 11월 16일 |
임기 종료2 | 1850년 8월 6일 |
전임2 | 프레데리크 마르쿠스 크누트, 크누텐보르 백작 |
후임2 | 홀게르 크리스티안 레에츠 |
개인 정보 | |
부모 | 요아킴 고스케 몰트케 게오르기네 폰 부흐발트 |
배우자 | 프레데리케 루이제 크누트 마리 엘리자베트 크누트 |
자녀 | 프레데리크 몰트케 크리스티안 몰트케 |
친척 | 아담 고틀로프 몰트케 (조부) |
2. 초기 생애와 교육
덴마크와 독일의 귀족 가문인 몰트케 가문 출신으로, 1785년 8월 25일 퓐 섬에 있는 아인시델스보르 영지에서 국무참의관 요아킴 고드스케 몰트케의 아들로 태어났다.[2][8][9] 그의 할아버지 아담 고틀로프 몰트케는 프레데리크 5세 국왕의 궁내관이자 왕의 총신으로 영향력 있는 인물이었다.[1][3][7][10]
초기에는 법률가의 길을 걸으려 했으나, 농업 개혁가 Christian Colbjørnsen|크리스티안 콜비에르손eng의 영향을 받아 국정에 참여하게 되었다.[9] 1831년 요한 시기스몬트 폰 뫼스팅의 뒤를 이어 재무 장관에 임명되었고, 1845년에도 같은 직책을 맡았다.[9][1] 1848년 덴마크의 정치적 격변기에 절대주의 정부가 무너진 후, 온건한 성향과 사회적 지위를 바탕으로 새로운 국민 정부를 이끌 초대 총리로 추대되었다.[1][9] 총리 재임 중 덴마크 왕국 헌법 제정에 기여했으나, 덴마크 단일 왕국화 정책에 반대하여 1852년 사임했다.[9] 이후 란스팅 의원과 Rigsråd|릭스뢰드dan(추밀원) 고문관으로 활동했다.[9]
어린 시절에는 훗날 셸란의 주교가 되는 야코브 페테르 뮌스터에게 교육을 받았다.[4] 이후 농업 개혁가 크리스티안 콜비에르손의 영향을 받아 법률가의 길을 포기하고 국정에 참여하게 되었다.[9]
3. 경력
3. 1. 정치 입문
그는 인정 많고 가부장적인 영주로 알려졌지만, 뛰어난 정치적 능력까지 갖춘 인물은 아니라는 평가를 받는다.[1] 1845년부터 재정부 장관을 지냈다.[1] 마지막 절대주의 정부가 무너졌을 때 그 역시 자리에서 물러났지만,[1] 며칠 지나지 않아 그의 사회적 지위와 온건한 견해가 고려되어 새로운 국민 정부를 구성할 가장 적합한 지도자로 여겨졌고, 정부 구성을 요청받았다.[1]
3. 2. 덴마크 총리
몰트케는 인정 많고 가부장적인 영주로 알려졌지만 뛰어난 정치가는 아니었다는 평가가 있다. 그는 1831년 요한 시기스몬트 폰 뫼스팅의 뒤를 이어 재무 장관에 취임했으며[9], 1845년부터 다시 재무 장관을 역임했다. 크리스티안 8세가 사망한 1848년 당시, 그는 국무 회의의 주요 구성원이었다.[9]
1848년, 덴마크의 마지막 절대 정부가 무너지면서 몰트케 역시 잠시 해임되었으나, 며칠 지나지 않아 새로운 국민 정부를 구성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그의 높은 사회적 지위와 온건한 정치적 견해가 격동의 시기에 구시대와 신시대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었다.[9] 프레데리크 6세와 크리스티안 8세 같은 절대 군주 아래에서 신임을 받던 인물이 민중 지도자들을 내각에 포함시키고(몰트케 1차 내각) 이를 이끌었다는 사실은, 새롭게 출범한 정부에 안정성과 국민적 신뢰를 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9] 또한, 그가 계속해서 재무 장관직을 유지한 것은 전쟁 중이던 덴마크의 재정 안정에도 기여했다.[9]
1848년 3월 22일, 몰트케는 초대 총리로서 첫 국민 내각인 몰트케 1차 내각(3월 내각)을 출범시켰다. 이후 내각은 여러 차례 개편되었다.
내각 명칭 | 별칭 | 출범일 |
---|---|---|
몰트케 1차 내각 | 3월 내각 | 1848년 3월 22일 |
몰트케 2차 내각 | 11월 내각 | 1848년 11월 16일 |
몰트케 3차 내각 | 7월 내각 | 1851년 7월 13일 |
몰트케 4차 내각 | 10월 내각 | 1851년 10월 18일 |
초기 몰트케 내각은 보수-자유주의 연립 성격을 띠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자유주의 세력이 점차 내각에서 이탈하고 외국의 압력으로 인해 점차 노골적으로 보수적인 색채가 강해졌다. 몰트케 2차 내각 시기인 1849년 6월 5일에는 덴마크 왕국 헌법이 제정되는 중요한 진전이 있었다.[9]
그러나 몰트케는 덴마크 왕국과 슐레스비히 공국, 홀슈타인 공국을 인적 동군 연합 형태로 유지하는 대신, 덴마크 중심의 단일 왕국으로 만들려는 칙령에는 동의하지 않았다. 이 문제로 인해 그는 1852년 1월 27일 총리직에서 사임했고[9], 후임으로는 크리스티안 알브레히트 블루메가 임명되었다.
총리직에서 물러난 후에도 몰트케는 란스팅 (덴마크 상원) 의원으로 활동했지만, 정치 전면에 나서지는 않았다.[9] 1855년 10월 2일에는 자문 기관인 Rigsråd|릭스뢰드da(추밀원)의 고문관으로 선출되어 1863년까지 활동했다.[9]
3. 3. 총리직 사임 이후
1851년 7월 구성된 제3차 몰트케 내각에서도 총리직을 유지했으나, 슐레스비히와 홀슈타인을 덴마크 왕국과 통합하여 단일 왕국으로 만들려는 칙령에 동의하지 않아 1852년 1월 27일에 사임했다.[9]총리직에서 물러난 이후에도 란스팅 의원으로 활동했지만, 정치적으로 눈에 띄는 활동은 하지 않았다.[9] 1855년 10월 2일에는 자문 기관인 릭스뢰드(Rigsråd, 추밀원)의 고문관으로 선출되어 1863년까지 그 직을 유지했다.[9] 1864년 2월 15일 코펜하겐에서 사망했으며, 팍세의 카리세 교회(Karise Kirke)에 있는 몰트케 가문 예배당에 안장되었다.[11]
4. 개인사
1785년 8월 25일 퓬 섬의 이이비에르가르(Egebjerggård)에서 요아킴 고스케 몰트케의 아들로 태어났다.[8][9] 그의 할아버지는 프레데리크 5세의 궁내 장관(Chamberlain (office)|궁내 장관영어)이었던 아담 고트롭 몰트케이다.[7][10]
1818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브레겐트베드 백작이 되었으며, 링스테드 북쪽에 있는 메를뢰세고르(Merløsegaard)와 소피에달(Sophiedal)의 소유주이기도 했다.
몰트케는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아내 프레데리케 루이세 크누트(Frederikke Louise Knuth|프레데리케 루이세 크누트da, 1797년–1819년)는 1819년에 사망했으며, 자녀는 없었다. 그녀가 사망한 후, 몰트케는 그녀의 언니인 마리 엘리자베스 크누트(Marie Elisabeth Knuth|마리 엘리자베스 크누트da, 1791년–1851년)와 결혼했다. 두 번째 부인과의 사이에서 두 아들을 두었다.
- 프레데리크 게오르그 율리우스 몰트케 (1825년–1875년)
- 크리스티안 몰트케 (1833년–1918년): 1865년 단네스킬드-삼쇠(Danneskiold-Samsøe) 가문의 캐롤라인 아말리에(Caroline Amalie|캐롤라인 아말리에da, 1843년–1876년)와 결혼했다.
1829년 그린란드의 몰트케 곶(Cape Moltke)은 빌헬름 아우구스트 그라(Wilhelm August Graah, 1793년–1863년) 중위에 의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864년 2월 15일 코펜하겐에서 사망했으며,[11] 팍세(Faxe) 시의 카리세 교회(Karise Kirke)에 있는 몰트케 가문 묘지에 묻혔다.[11]
참조
[1]
웹사이트
Adam Wilhelm, Greve (count) Moltke: prime minister of Denmark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17-07-18
[2]
서적
The new American cyclopædia
https://books.google[...]
American Cyclopaedia
1861
[3]
서적
The Man Who Stole Himself: The Slave Odyssey of Hans Jonath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7-07-18
[4]
서적
Die Moltkes: Biographie einer Familie
https://books.google[...]
C.H.Beck
[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Denmark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7-07-18
[6]
간행물
Narrative of an Expedition to the East Coast of Greenland
W. A. Graah
1837
[7]
웹사이트
Adam Wilhelm, Greve (count) Moltke {{!}} prime minister of Denmark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17-07-18
[8]
서적
The new American cyclopædia
https://books.google[...]
American Cyclopaedia
2017-07-18
[9]
EB1911
Moltke, Adam Wilhelm, Count
[10]
서적
The Man Who Stole Himself: The Slave Odyssey of Hans Jonath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7-07-18
[1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Denmark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7-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